..

note

지속적이지 않을지도 모르고 어떤 형식으로 올려야할지도 정해나가는 중이지만.. 어쨌든 기록할 공간을 하나 새로 만들었다.

  • For replicating simulation results from Chernozhukov et al.(2018)

코드는 맞게 짠 거 같은데 기본적인 형태의 dml 퍼포먼스가 생각보다 나오질 않는다. 마지막 treatment effect estimate이 bias를 지우는 방법이 아니라 parameter들의 셋팅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.. 최소한 ridge를 쓸 때 결과는 원하던대로 나오긴 하는데, lasso같은 다른 regularization method는 여전히 생각만큼 안나옴. g0을 추정하는 과정을 체크해야 하는건지.. 코딩으로 원하는 결과가 나오질 않는 게 오랜만이라 좀 짜증난다. 정 안되면 교수님께 여쭤보는 걸로.

  • Edgeworth Expansion and Bootstrap

Edgeworth expansion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좀 하고 싶은데 오늘 코딩하다가 체력이고 기분이고 다 썼다. 좀 더 읽고 갈지 아니면 지하철에서 읽을지 고민중. 그래도 웬만하면 좀 더 하다가자..

=> Hall(1992) 받았고 읽는 중. Bootstrap에 대한 Edgeworth expansion 적용을 다룬 책인데 내가 더 생각해봐야할 건 - with replacement(Bootstrap)에서 without replacement(Permutation Test)로 셋팅을 바꿀 때 달라지는 건 무엇인지? 교수님은 그게 Contiguity와 연결되어있다는 아이디어를 주셨다. 그걸 더 깊게 고민하면서 읽는 게 내 몫.
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