..

some readings

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오늘 한 것들 -

  1. 지도교수 미팅이 짧게 있었다 - 다음에 논문 드래프트를 드리고 / 시뮬레이션 결과 검토하게 코드 다시 rearrange해야한다. 또 지금 고정해놓은 리딩에서 아이디어 좀 찾아보기. 다행히 3주후에 미팅이라 여유가 있다.

  2. 증명 읽기 - 한 두세페이지 또 읽었는데 bound잡는 large C가 지금 24개가 나왔다 이게 말이 되냐?.. 그래도 얼마 안남았다. 근데 뭔가 아직 확장시킬 건덕지라고나 할까 그런 건 직접적으로 생각나지 않음. 그냥 손수 때려박다보면 아이디어 나오지 않을까 생각중.. 다른 미팅이 3주뒤로 잡힌 김에 / 그리고 다다음주가 봄방학인 김에 그 사이에 새 증명 드래프트까지 적어보자는 게 나름의 목표임

  3. 글고 운동 다녀옴 - 등했다. 등한 다음날은 꼭 컨디션이 다운되므로 집가서 꼭 영양제 챙겨먹기.

여튼 하드에 꿍쳐둔 리딩들을 한번 정리해볼까 한다. ‘나중에 읽을 것’ 폴더에 넣고 잘 꺼내본 적이 없으므로.. 블로그는 나름대로 내가 많이 들리니까 조금씩이라도 읽게 되지 않을까? 하는 마음. 아래 리딩들은 지금 당장 내가 하는 것과는 관계없지만 언젠가 봐두면 좋겠다 - 언젠간 이런 일들을 하고 싶다는 맘에 쟁여둔 것들이다.

  • https://www.math.ucla.edu/~tao/preprints/forms.pdf : Differential Forms and Integration, Terence Tao: operator로서의 미분에 대한 직관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는 요즘이라 언젠가 읽어보고 싶다. 짧은 강의노트라 술술 읽히..면 좋겠다.

  • https://arxiv.org/abs/2210.08698 : A Design-Based Riesz Representation Framework for Randomized Experiments, Harshaw et al. 끝내주게 재밌어보임. 나도 이 프론티어에서 놀고 싶다는 욕심이 생기지만 아직은 내가 실력이 이정도는 안됨. 조바심/욕심내지 말고 천천히..

  • https://arxiv.org/abs/1806.07572 : Neural Tangent Kernel: Convergence and Generalization in Neural Networks, Jacot et al. 재밌어보임 (2). 뉴럴 네트워크에 대한 희미한 직관을 점점 구체화하는 요즘인데 커널 프레임워크는 어떻게 되나 보고 싶다.

  • 글고 아빠 비숍 아들 비숍의 딥러닝 교과서: 지금 back propagation에 대해 관심이 생기는데 이거 참고해서 공부해보면 될듯

  • 지도교수 교과서 챕터 41(먼 책이길래 챕터가 41개냐?): finite population / super-population framework을 오고가야하는 상황이라 언젠가 제대로 짚고 넘어가야함.

리딩시리즈는 다음에 계속..

Comments